설문조사···응답자51% “데이터 보안 가장 우려”
클라우독 RAG·보안 탑재한 ‘아이채터’ 출시

국내 보안 담당자 절반이 업무에 생성형 AI를 활용해 본 경험이 있으며, 문서 및 콘텐츠 제작(35%), 데이터 분석(34%)에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미지 출처 : 엠클라우독

이는 문서중앙화 기업 엠클라우독이 보안 담당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른 것으로, 응답자의 64%는 생성형 AI 사용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결과의 정확성’을 선택했다. 이용 중 가장 불편하거나 아쉬웠던 점으로는 ‘답변의 일관성 부족 및 맥락 이해 미흡’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이는 실무 환경에서 AI의 신뢰성 높은 결과 도출 능력이 핵심 요구사항임을 보여준다.

생성형 AI 도입에 대한 우려 사항으로는 응답자의 51%가 ‘데이터 보안’을 가장 큰 우려 사항으로 꼽아, 보안 실무자들이 생성형 AI 활용 시 보안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엠클라우독은 이에 생성형 AI 기반 솔루션 ‘아이채터(aichatter’)를 출시한다. 아이채터는 정확성, 맥락 이해, 보안성을 핵심으로 설계된 AI 솔루션으로, 문서봇 기능에 RAG를 적용했으며, AI 에이전트를 사용해 사용자 요청과 업무 흐름을 기억하고 일관성 있는 대화와 문맥 인식을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명확한 업무 지원이 가능하다. 더불어 기업의 중요한 문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문서 전송, 저장 암호화, 로그 기록, 금지어 목록 관리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탑재했다.

기사 출처 : 데이터넷(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915)

▲ 이미지 출처 : 엠클라우독

생성형 인공지능 솔루션인 aichatter는 채팅은 물론, 최근 생성형 AI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은 RAG(Retri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 증강 생성)와 AI 에이전트 기반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최근 AI의 화두인 ‘AI 에이전트’ 기능도 제공합니다. 기본 AI 채팅이 정리된 콘텐츠를 안내하거나 사람에게 문의를 넘기던 것과 달리, AI가 추론 기능을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계획해 행동에 이르는 해결 방법을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추후 고객사 커스터마이징 기능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아이채터는 생성형 AI 솔루션으로 고객이 등록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해 사용자의 질문에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한다.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모델(LLM)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만으로 답변합니다. 하지만, AI 에이전트는 새로운 정보를 검색하는 것뿐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실제 행동을 수립합니다.

▲ 이미지 출처 : 엠클라우독

문서와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유튜브 링크, 웹사이트 URL 등을 등록할 수 있어, 텍스트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멀티미디어 채팅, 번역서비스 등의 기능을 통해 업무 환경을 지원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솔루션 aichatter의 도입을 고민중이시라면 (주)피플러스에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보안 전문가가 친절해 안내해 드립니다.

제품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도와드리겠습니다.

TEL : 031-784-8500~1
E-mail : sales@ppl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