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보안, 솔루션 통합 넘어 사용자의 니즈까지 통합하다(보안뉴스, 2024.08.31.)
코로나 펜데믹으로 촉발된 업무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IT 환경은 다변화됐고, 인공지능과 클라우드의 폭발적인 증가는 업무의 편리성을 높여주었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에 따른 틈을 노린 사이버 위협도 크게 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 솔루션의 도입이 증가했다.
■ “생성형 AI, 방어 비용 급증 유발··· 내년 보안 SW 지출 15% 증가” 가트너(CIO, 2024.09.02.)
생성형 AI 출시 이후 공격자들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함께 대규모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을 수행하는 도구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생성형 AI는 보안에 필요한 사이버 보안 리소스의 급증을 유발하여 보안 소프트웨어 지출을 15%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서울시, 사이버공격 대응 ‘AI 보안’ 가동…3년간 339억 투입(뉴시스, 2024.09.04.)
서울시는 4일 AI를 활용해 사이버 공격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내용의 ‘AI 기반 사이버보안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사이버 위협 예방·탐지·대응체계, 사이버 보안 회복력, 개인정보보호 체계 강화 등이 이번 종합계획의 핵심으로 시는 향후 3년간 총 33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 법무부·과기부, 특활비 줄이고 정보보안비 대폭 늘려(내일신문, 2024.09.04.)
과기정통부와 법무부는 일부만 특수활동비에 남겨두고 나머지를 정보보안비로 가져왔다. 두 부처는 특수활동비 규모를 줄이면서 정보보안비를 대폭 늘렸다. 과기정통부의 특수활동비와 정보보안비를 더한 규모는 38억원에서 53억원으로 대폭 늘어났다.
—
지능화·고도화되는 신·변종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막대한 지출을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AI와 생성형 AI 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보안, 데이터 보안, 개인정보 보호, 인프라 보호와 같은 보안 소프트웨어 시장에 대한 투자가 계속해서 증가는 현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